- Published on
바텀업 타입을 활용한 선언적 타입 작성
- Authors
- Name
최근 모달을 구현해가며, 전역상태로 관리하는 코드를 작성한적이 있었다.
코드를 작성하며 생각했던 고민과 그 고민을 해결했던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해보려한다.
문제의 코드
modal Store가 존재하고 store는 state와 state를 변경하는 action으로 분리되어 관리되고있다.
한번 코드를 천천히 살펴보자..!
// src/slices/modalSlice.ts
import { StoreApi } from 'zustand'
type SetState = StoreApi<CreateModalSlice>['setState']
type State = {
visible: Record<string, boolean>
}
type Action = {
open: (modalName: string) => void
close: (modalName: string) => void
}
type CreateModalSlice = State & { action: Action }
const initialState: State = {
visible: {},
}
const createModalSlice = (set: SetState): CreateModalSlice => ({
...initialState,
action: {
open: (modalName) => {
set((prev) => ({ ...prev, visible: { ...prev.visible, [modalName]: true } }))
},
close: (modalName) => {
set((prev) => ({ ...prev, visible: { ...prev.visible, [modalName]: false } }))
},
},
})
export default createModalSlice
// src/stores/useModalStore.ts
const useModalStore = create(createModalSlice)
const useModalState = () => {
return useModalStore((state) => ({
visible: state.visible,
}))
}
const useModalAction = () => {
return useModalStore((state) => state.action)
}
문제는 없어보인다!
이유는 모달의 상태를 제어해주는 상태는 visible이고
visible은 Record<string, boolean>
이기 때문에 자유로운 모달의 키값을 활용하여 on off가 가능하다.
정말 문제가 없을까?
사진으로 확인해보자
visible의 타입은 Record<string, boolean>
이어서 문제가 발생하고있다.
store를 사용하는 사용처인 컴포넌트는 visible의 키 타입이 너무나 자유분방하여
button을 클릭하면 create라는 키값이 on되지만 visible.crate라는 오류를 범하고있다.
보이는 문제 그대로 타입의 자유때문에 개발자는 오타임에도 불구하고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않아,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조차 없는 문제가 발생한것이다.
물론 오타를 조심하면된다 ㅋㅋㅋㅋ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는 않을것이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픈 욕구가 끓어올랐다.
그럼 어떻게 해결해볼까?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스토어에서 타입을 string으로 지정하였고 사용처에서는 스토어가 갖고있는 타입을 그대로 사용하는것이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 사용처에서 타입을 강제해버릴 방법이 없을까를 고민하였고 제너릭을 활용해보기로 맘먹게 되었다.
type State<T extends string> = {
visible: Record<T, boolean>
}
type Action<T> = {
open: (modalName: T) => void
close: (modalName: T) => void
}
원하는 부분은 이곳이다. visible의 key값이 string이 아닌 사용처에서 지정해준 KeyType
일것이다.
그러면 기존의 코드에서 어떻게 타입을 끌어올려줄지 고민해보면된다.
// src/slices/modalSlice.ts
type CreateModalSlice<T extends string> = State<T> & { action: Action<T> }
const createModalSlice = <T extends string>(set: SetState<T>): CreateModalSlice<T> => ({
...initialState,
action: {
open: (modalName) => {
set((prev) => ({ ...prev, visible: { ...prev.visible, [modalName]: true } }))
},
close: (modalName) => {
set((prev) => ({ ...prev, visible: { ...prev.visible, [modalName]: false } }))
},
},
})
// src/stores/useModalStore.ts
import createModalStore, { CreateModalSlice } from '../slices/ModalSliceBottomUp'
const modalStore = createModalStore<string>()
const useModalStore = <T extends string>() => {
return modalStore() as CreateModalSlice<T>
}
export { useModalStore }
타입단언으로 리턴타입을 명시해주었다. 이로써 사용처에서 타입을 전달하여 modalStore까지 타입이 전달되고 State, Action에 타입이 전달될수있는 구조가 되었다.
그렇다면 사용처에서는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사용처에서 호출될 훅스를 살펴보자
useModalStore
에서 타입을 받아 slice에게 타입을 던져주면된다. CreateModalSlice
는 State
와 Action
에게 타입을 던져주면 목표 완성이다
사진에서 보다 싶이 ModalName이 잘 들어가는것을 확인할수있다.
이로써 타입의 흐름이 탑다운 방식이 아닌, 바텀업 방식으로 흐르게 되어서 보다 선언적인 코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