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 모던 자바스크립트 핵심 가이드 ] 스터디 5회
- Authors
- Name
ES2019
Object.fromEntries
Object.entries의 반대 기능이다. entries가 객체를 2차원 배열로 만들었다면, fromEntries는 2차원 배열을 객체로 만들어준다. Map도 지원한다.
const array = [
['name', 'BBAKJUN'],
['age', 28],
]
const obj = Object.fromEntries(array)
console.log(obj) // { name: 'BBAKJUN', age: 28 }
Array.flat Array.flatMap
flat은 다중 배열을 펼치는 기능이다.(기본은 1단계 펼침) 인자로 숫자를 넣어주면 연달아 몇번 펼칠지 결정한다.
const array = [1, 2, [3, [4, [5]]]]
console.log(array.flat()) // [1, 2, 3, [4, [5]]];
const array = [1, 2, [3, [4, [5]]]]
console.log(array.flat(2)) // [1, 2, 3, 4, [5]];
const array = [1, 2, [3, [4, [5]]]]
console.log(array.flat(Infinity)) // [1, 2, 3, 4, 5];
flatMap은 map과 flat을 섞은 메서드다. map후에 flat을 하는게 살짝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const array = ['abc', 'def']
const first = array.map((v) => v.split('')) // [['a', 'b', 'c'], ['d', 'e', 'f']]
const second = array.map((v) => v.split('')).flat() // ['a', 'b', 'c', 'd', 'e', 'f']
const third = array.flatMap((v) => v.split('')) // ['a', 'b', 'c', 'd', 'e', 'f']
second와 third는 같은 값을 반환한다. 하지만 왜 효율적일까?
map은 callBack 함수를 각각의 요소에 대해 한번씩 순서대로 불러와 그 함수의 반환값을 새로운 배열을 만들게된다.
그럼 array를 한번씩 순서대로 불러올때는 'abc'
, 'def'
를 불러오고 split으로 나눈다. 총 2번 루프를 돌았다. 그후 flat메서드로 다중배열을 1차원배열로 풀어주었으니 2번을 돌아 총 4번을 돌았다.
flatMap은
String.trimStart trimEnd trimLeft trimRight
기존에 문자열 공백제러를 위해 trim 메서드를 썼는데 양쪽 공백을 모두 제거했었고, 우측공백만 제거하고싶었을때에는 난감했는데 이를 해소해줄 메서드가 나왔다.
Optional Catch
catch의 매개변수를 쓰지않는 경우 error 매개변수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try {
new Error('error')
} catch (error) {
console.log('이전 방법')
}
try {
new Error('error')
} catch {
console.log('최신 방법')
}
ES2020
matchAll
문자열에서 일치하는 정규 표현식을 iterator 형식으로 반환한다.
정규표현식 뒤에 /g를 사용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
Uncaught TypeError: String.prototype.matchAll called with a non-global RegExp argument
const 집에_몇번_가고싶나 =
'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집에가고싶음...'.matchAll(
/집에가고싶음/g
)
let num = 0
while (true) {
const { value, done } = 집에_몇번_가고싶나.next()
if (done) break
num++
}
console.log(num) // 8
정표현식에 일치하는 문자열은 8개이므로 8개의 iterator 형식으로 반환되었다. 그래서 나는 총 8번 집에 가고싶었던것이다...
BigInt
JS에서는 큰 숫자를 표현하는데 문제가있었다. 2^53-1보다 큰 숫자를 처리할 수 없었는데 BigInt객체가 도입되며 처리할 수 있게되었다.
숫자뒤에 n을 붙이면된다
Promise.allSettled
Promise.all 의 아쉬운점이 여러 프라미스중 하나만 실패해도 catch로 이동하는 점이 아쉬웠다.
const fetchFirstData = () => new Promise((resolve, reject) => resolve('성공'))
const fetchSecondData = () => new Promise((resolve, reject) => reject('실패'))
const fetchThirdData = () => new Promise((resolve, reject) => resolve('성공'))
Promise.allSettled([fetchFirstData(), fetchSecondData(), fetchThirdData()]).then((res) => {
console.log(res[0]) // { status: 'fulfilled', value: '성공' }
console.log(res[1]) // { status: 'rejected', reason: '실패' }
console.log(res[2]) // { status: 'fulfilled', value: '성공' }
})
Promise.allSettled를 사용하면 개별적으로 성공여부를 알려준다. 성공한 경우 status는 fulfilled를 실패한 경우 rejected로 반환한다.
globalThis
기존의 브라우저의 전역객체는 window, 노드는 global이었기 때문에 분기처리를 해줘야했던 경우가있었는데 globalThis라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const isServer = globalThis !== window
Optional Chaining
옵셔널 체이닝이 생기기 이전에는 a 객체의 b 프로퍼티를 참조하려할때 a.b
로 했었지만 만약 a가 객체가 아닐경우 에러를 만나게되었다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b')
이를 a && a.b
이렇게 작성했었는데 객체의 depth가 길어질수록 보기 안좋았었다.
옵셔널 체이닝이 생기며 a?.b
로 사용이 가능해지며 코드가 간결해졌다.
Nullish coalescing
널 병합기능으로 옵셔널 체이닝과 같이 편의성을 위해 추가되었다.
Nullish coalescing를 사용하면 null과 undefined인 경우에만 거짓으로 처리되니 boolean값과 분리하여 사용할수있어 편리하다.
console.log(
false || 'hello', // false
'' || 'hello', // ""
null || 'hello', // "hello"
undefined || 'hello' // "hello"
)
ES2021
replaceAll
문자열을 한번에 여러개 바꿀 수있는 기능이다. 이전에는 정규표현식으로 사용했어야했다
const string = 'hello, my name is Park Jun Hyeong'
console.log(string.replaceAll(',', ' ')) // 최신 방법
console.log(string.replace(/,/g, ' ')) // 이전 방법
Promise.any
여러개의 프라미스 중에 하나라도 통과하면 resolve 모두 실패할 경우 reject된다.
const Promises = [Promise.reject(1), Promise.reject(3), Promise.resolve(5)]
Promise.any(Promises).then((res) => console.log(res === 5)) // Promise.resolve(5)가 가장 먼저 성공한다.
Promise.any(Promises).catch((err) => console.log(err)) // AggregationError
race와 헷갈릴수있지만 race는 실패하던 성공하던 상관없이 가장 먼저 끝나는 것을 resolve하기때문에 any는 반드시 성공하는것이 resolve된다.
그래서 Promises
요소중 Promise.reject(1)
가 가장 먼저 종료되지만 Promise.resolve(5)
가 가장 먼저 성공하는것이다
Logical Assignment
기존에 사용하던 논리연산자에 할당문이 붙은거다. 잘쓰지는 않았던 문법이라 생소하긴하다.
a = a || 2
a ||= 2
Numeric Separators
1000000을 보기 힘든경우가 있다. 보통 천의자리마다 끊어줘서 사용하는게 편한데, 코드로는 어려워서 도입된 기능이다.
1_000_000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ES2022
Class 속성
메서드가 아닌 클래스 속성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class User {
name = 'BBAKJUN'
#age = 28
static isHuman = false
}
console.log(new User().name) // "BBAKJUN"
console.log(new User().age) // undefined
console.log(User.isHuman) // false
private 속성이 추가되었다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앞에 #
를 붙이면 된다.
static 속성은 앞에 static
을 붙이면된다. 정적메서드혹은 정적멤버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ss BBAKJUN {
static #is(type) {
return type === 'noHuman'
}
#isHuman() {
return BBAKJUN.#is('noHuman')
}
isHuman() {
return this.#isHuman()
}
}
console.log(new BBAKJUN().isHuman) // undefined
console.log(BBAKJUN.is) // undefined
console.log(new BBAKJUN().isHuman()) // true
at
배열과 문자열에 at 메서드가 추가되었다.
const array = [1, 2, 3]
console.log(array.at(2)) // 3
console.log(array.at(-1)) // 3
hasOwn
Object에 hasOwn 정적메서드가 추가되었다. 첫번째 인자로 넘겨준 객체의 자기 자신의 속성인지 체크한다.
const me = { name: 'BBAKJUN' }
Object.hasOwn(me, 'name') // true
Object.hasOwn(me, 'age') // false
Object.hasOwn(me, 'job') // false
ES2023
findLast, findLastIndex
find 메서드는 배열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첫번째 요소를 찾고, findLast는 반대로 마지막 요소를 찾는다.
findLastIndex는 요소대신 인덱스를 찾는다.
const arr = [1, 2, 3, 1]
arr.find((num) => num === 1) // 1
arr.findLast는((num) => num === 1) // 1
arr.findLastIndex는((num) => num === 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