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 모던 자바스크립트 핵심 가이드 ] 스터디 1회
- Authors
- Name
1장
var let const
ECMAScript2015 부터 let const가 도입되었다.
var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 스코프에 종속된다.
for 루프내에서 var 키워드로 변수 선언하면 루프 밖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for (var i = 0; i < 10; i++) {
var description = 'Hello var in loop'
}
console.log(description) // Hello var in loop
function sayHello() {
var descriptionInFunction = 'Hello var in function'
console.log(descriptionInFunction) // Hello var in function
}
sayHello() // Hello var in function
console.log(descriptionInFunction) // ReferenceError : descriptionInFunction is not defined
for loop 안에있는 var 의 값이 블럭 스코프를 벗어나도 loop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지만,
함수안에있는 var는 함수 스코프에 내에서 제한되어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let
let 으로 선언된 변수는 블록 스코프로 종속된다.
변수가 선언된 블록과 하위 블록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let x = 'global'
if (x === 'global') {
let x = 'block-scoped'
console.log(x) // block-scoped
}
console.log(x) // global
var y = 'global'
if (y === 'global') {
var y = 'block-scoped'
console.log(y) // block-scoped
}
console.log(y) // block-scoped
블록 스코프 내에서 let으로 선언한 변수에 새 값을 할당하면 블록스코프 바깥에서는 그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반면에 var로 선언된 변수는 동일한 작업을 하면 블록 스코프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므로 블록 바깥에서도 값이 변경된다.
const
let과 마찬가지로 블록 스코프에 종속된다.
재할당을 통해 값이 변경될 수 없고, 다시 선언될수도 없단는 차이점이 있다.
const
로 선언된 변수가 불변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let currentYear = 2022
const person = {
name: '빡준',
age: 27,
}
currentYear = 2023
person.age = 28
console.log(person.age) // 28
2022의 빡준은 27세였지만, 2023년의 빡준은 28세가 된다는 문맥이다.
이 경우에 변수 전체를 재할당하는것이 아닌, 그 속성 중 하나만 재할당하므로 문제가없다.
객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게 const 객체를 고정할 수는 있다.
const person = {
name: '빡준',
age: 27,
}
console.log(person.age) // 27
Object.freeze(person)
person.age = 28
console.log(person.age) // 27
그렇다고 오류를 뱉지는 않는다.
TDZ (Temporal dead zone)
console.log(i) // undefined
var i = '나는 변수'
console.log(j) // ReferenceError : can't access lexical declaration 'j' before initialization
let j = '나도 변수'
console.log(k) // ReferenceError : can't access lexical declaration 'j' before initialization
const k = '나도 변수'
var는 정의되기전에 접근할수있지만, 그 값에는 접근이 불가하다.
let과 const는 정의하기 이전에 접근할 수 없다.
var, let, const 모두 다른 소스에서 읽을 수 있는 내용임에도 호이스팅의 대상이 된다. 즉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처리되고 해당 스코프 상단으로 올라간다.
var가 가지는 가장 큰 차이점은 정의도기 전에도 접근할 수 있다.
var는 정의되기이전에는 undefined이다.
반면 let은 변수가 선얼될때까지 일시적으로 TDZ에 있게된다. 따라서 초기화 전에 변수에 접근하면 오류를 발생한다.
2장
화살표함수
ECMAScript 2015에서 화살표함수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const greeting = function (name) {
return 'Hello' + name
}
이를 화살표 함수로 변경하면
const greeting = (name) => {
return `Hello ${name}`
}
// 매개변수가 하나일경우 괄호를 생략하고 작성가능
const greeting = (name) => {
return `Hello ${name}`
}
//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빈괄호를 사용해야함
const greeting = () => {
return `Hello`
}
// 아래와 같이 암시적반환이 가능하다
const greeting = (name) => `Hello ${name}`
화살표 함수는 익명함수다.
참조할 이름이 필요하다면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면 된다.
화살표 함수와 this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할때에는 일반 함수와 다르게 동작하므로 주의해야한다.
화살표 함수를 사용할때 this는 상위 스코프에서 상속된다.
<div class="box">This is box</div>
<style>
.box {
background-color: red;
}
</style>
const box = document.querySelector('div.box')
box.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this.classList.toggle('opening') // 첫번째 this
setTimeout(function () {
this.classList.toggle('opening') // 두번째 this
}, 500)
})
위 코드의 문제는 첫번째 this가 box에 할당되었지만, setTimeout 함수 내부에서의 this는 window객체로 설정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Uncaught TypeError : cannot read property "toggle" of undefined
화살표 함수가 부모 스코프에서 this 값을 상속한다는 것을 알고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오류는 없다.
const box = document.querySelector('div.box')
box.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this.classList.toggle('opening')
setTimeout(() => {
this.classList.toggle('opening')
}, 500)
})
그렇다면 화살표함수를 조심해서 사용해야하는 때는 언제인가?
상위스코프가 window객체이므로 window를 가리키게 된다.
const box = document.querySelector('div.box')
box.addEventListener('click', () => {
this.classList.toggle('opening') // this는 window객체를 가리킨다.
})
const BBAK_JUN = {
age: 27,
grow: function () {
this.age = this.age + 1
},
}
BBAK_JUN.grow()
console.log(BBAK_JUN.age) // 28
const _BBAK_JUN = {
age: 27,
grow: () => {
// this는 상위스코프인 window객체를 가리킨다.
this.age = this.age + 1
},
}
_BBAK_JUN.grow()
console.log(_BBAK_JUN.age) // 28
3장
함수 기본값 인수
ECMAScript 2015 이전에는 함수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지정하는것이 어려웠다.
class User {
constructor() {
this.name = null
}
static createInstance() {
return new User()
}
// 이전 방법
setUserName(name) {
if (!name) name = 'BBAK_JUN'
this.name = name
}
getUserName() {
return this.name
}
}
const user = User.createInstance()
user.setUserName()
user.getUserName() // BBAK_JUN
하지만 ECMAScript 2015 이후부터 매개변수에 기본값을 지정할수있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class User {
constructor() {
this.name = null
}
static createInstance() {
return new User()
}
// 새로운 방법
setUserName(name = 'BBAK_JUN') {
this.name = name
}
getUserName() {
return this.name
}
}
const user = User.createInstance()
user.setUserName()
user.getUserName() // BBAK_JUN
4장
템플릿 리터럴
ECMAScript 2015 이전에는 문자열 삽입하기 위해 아래 sayUserNameBefore
메서드같이 불편하게 코드를 작성했었다.
하지만 ECMAScript 2015 이후에는 템플릿 리터럴이 도입되며 sayUserNameAfter
메서드와 같이 깔끔하게 코드 작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ss User {
constructor() {
this.name = null
}
static createInstance() {
return new User()
}
setUserName(name) {
this.name = name
}
// ECMAScript 2015 이전
sayUserNameBefore() {
return 'Hello my name is' + this.name
}
// ECMAScript 2015 이후
sayUserNameAfter() {
return `Hello my name is ${this.name}`
}
}
const user = User.createInstance()
user.setUserName('BBAK_JUN')
user.sayUserNameBefore() // Hello my name is BBAK_JUN
user.sayUserNameAfter() // Hello my name is BBAK_JUN
중첩 템플릿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템플릿안에 템플릿을 중첩하는것도 간단해진다.
const getUserList = async () => {
return ['BBAK_JUN', 'bbak_jun', 'Park Jun Hyeong']
}
const userList = getUserList().then((res) => res)
const markupUserList = `
<ul>
${userList.map((user) => `<li>${user}</li>`).join(',')}
</ul>
`
console.log(markupUserList)
/*
* <ul>
* <li>BBAK_JUN</li>
* <li>bbak_jun</li>
* <li>Park Jun Hyeong</li>
* </ul>
*/
삼항연산자와 함께사용
프론트엔드에서 상태에 따른 텍스트를 보여줘야할때가있다.
예를들어 로그인 유저의 경우 유저이름을, 비로그인 유저의 경우 로그인유도 안내문을 보여야할때도있다.
자주사용하는 리액트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const App = () => {
const [userInfo, isLoggedIn] = useContext(authContext)
return (
<div>
<span>{isLoggedIn ? `${userInfo.userName}님 안녕하세요` : `로그인이 필요합니다.`}</span>
</div>
)
}
5장
문자열 메서드
indexOf
문자열에서 지정된 값이 처음 나타나는 위치의 인덱스를 반환한다.
const string = 'this is a short sentence'
console.log(string.indexOf('short')) // 10
slice
문자열의 지정된 부분을 새 문자열로 반환한다.
const string = 'pizza, hamburger, chicken'
console.log(string.slice(0, 5)) // pizza
toUpperCase
문자열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
toLowerCase
문자열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
아래부터는 ECMAScript 2015 이후에 도입된 문자열 메서드다.
startsWith
문자열이 매개변수로 받은 문자열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const string = 'Hello my name is BBAK_JUN'
console.log(string.startsWith('Hello')) // true
endsWith
문자열이 매개변수로 받은 문자열로 끝나는지 확인한다.
const string = 'Hello my name is BBAK_JUN'
console.log(string.endsWith('BBAK_JUN')) // true
includes
문자열이 매개변수로 받은 문자열을 포함하는지 확인한다.
const string = 'Hello my name is BBAK_JUN'
console.log(string.includes('Hello')) // true
repeat
매개변수로 받은 수만큼 문자열을 반복한다.
const string = 'Hello'
console.log(string.repeat(2)) // HelloHel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