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Engineer - 박준형

Published on

Frontend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Authors
  • Name
    Twitter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상태 관리를 접근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입니다.

  1. 함수형 프로그래밍: 이 방식에서는 상태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순수 함수를 통해 데이터를 변환합니다. 함수는 입력에 따른 출력만을 생성하며, 외부 상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이는 코드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이 방식은 데이터(상태)와 그 데이터를 조작하는 메서드(행동)를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합니다. 객체는 자신의 상태를 직접 관리하며,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구현합니다.

한편, 자바스크립트의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의 조합으로, 함수형과 객체지향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클로저는 간결하고 함수 내부에서 변수를 은닉할 수 있어, 작은 스코프나 임시적인 상태 유지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복잡한 상태나 여러 개의 연관된 데이터 조작에는 구조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은 고유의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상태 관리가 필요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객체지향적 접근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관련된 데이터와 행동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관리하므로, 복잡한 상태 로직을 더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런 이유로, 저는 Valtio를 사용해 객체지향적인 방식으로 상태 관리를 시도해보려 합니다. Valtio는 React 기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상태를 객체로 다루고 Proxy를 통해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OOP(객체지향 프로그래밍)와 잘 맞다고 생각합니다. Valtio의 기본 구조가 객체를 상태로 삼기 때문에, 객체지향적인 패러다임을 통해 상태 관리를 더욱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상태와 행동을 하나의 객체로 묶어 관리하는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하려고 합니다.

TL;DR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객체지향적 상태 관리를 학습하기 위한 예제로 간단한 SNS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보려 합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Next.js의 Route Handler와 JSON 파일을 활용해 간단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상태 관리를 위해 Valtio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Next.js의 route handler를 사용해 API 엔드포인트를 만들고, JSON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하여 게시물 생성, 조회, 수정 등을 구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상태 관리가 필요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객체지향적으로 다루고, Valtio를 사용해 객체 기반의 상태 관리가 얼마나 유용한지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예제가 될 것입니다.

Valtio

우선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인 Valtio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프록시 상태를 간단하게 만듭니다.

Proxy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proxy 함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감싸야합니다. 이렇게 하면 객체의 모든 속성이 리액티브 상태로 변환됩니다.

import { proxy } from 'valtio'

type Status = 'pending' | 'completed'
type Filter = Status | 'all'
type Todo = {
  description: string
  status: Status
  id: number
}

export const store = proxy<{ filter: Filter; todos: Todo[] }>({
  filter: 'all',
  todos: [],
})

스냅샷

위에서 proxy로 감싼 객체의 데이터에 엑세스하려면 useSnapshot 함수를 사용합니다.

todos / filter 속성이 업데이트 되면 리렌더링이 발생합니다.

const Todos = () => {
  const snap = useSnapshot(store)
  return (
    <ul>
      {snap.todos
        .filter(({ status }) => status === snap.filter || snap.filter === 'all')
        .map(({ description, status, id }) => {
          return (
            <li key={id}>
              <span data-status={status} className="description">
                {description}
              </span>
              <button className="remove">x</button>
            </li>
          )
        })}
    </ul>
  )
}

이처럼 Valtio는 프록시를 사용해 상태를 객체로 다루고, 스냅샷을 통해 상태의 변경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태 관리를 제공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Valtio를 사용해 객체지향적 상태 관리를 학습하기 위한 SNS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보겠습니다.

OOP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에서 레이어(layer) 는 애플리케이션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각 레이어가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설계 방식입니다. 레이어를 나누는 이유는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SNS 게시글 작성을 예시로 들어 OOP의 레이어 구조를 설명해보겠습니다. 게시글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세 가지 주요 레이어로 나누어집니다.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비즈니스 로직 레이어, 데이터 접근 레이어, 모델 레이어 각 레이어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자의 책임을 명확히 합니다.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 역할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레이어입니다.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요청을 보낼 수 있게 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표시합니다.
  • 구성요소 : HTML, CSS, JS(프론트엔드),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React, Angular 같은 프레임워크가 사용됩니다. 주로 컴포넌트가 해당됩니다.
  • 예시 : 사용자가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폼과 "작성" 버튼을 제공합니다. 폼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작성" 버튼을 클릭하면 이 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어 게시글이 저장됩니다.

Business Logic Layer (비즈니스 로직 레이어)

  • 역할 :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합니다. 이 레이어에서 게시글 작성, 수정, 삭제 등의 로직이 수행됩니다. 또한, 게시글의 길이, 금칙어 필터링 등의 유효성 검사를 여기서 처리합니다.
  • 구성요소 : View Model 계층이 해당됩니다. View Model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즈니스 로직 사이의 중간 계층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데이터를 준비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합니다.
  • 예시 :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의 내용이 규정된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지, 특정 금칙어가 포함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이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필요시 알림 기능을 호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Data Access Layer (데이터 접근 레이어)

  • 역할 : 프론트엔드에서는 API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호출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서버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게시글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새로운 게시글을 저장하는 요청을 보냅니다. 이 레이어는 API 호출을 추상화하여 비즈니스 로직 레이어가 구체적인 API 요청 방식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
  • 구성요소 : API 호출을 처리하는 함수들 또는 레포지토리 객체가 이 레이어를 담당합니다.
  • 예시 :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데이터를 API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게시글 데이터를 받아오는 작업을 처리합니다. API와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은 이 레이어에서만 이루어집니다.

Data Transfer Object Layer (데이터 전송 객체 레이어)

  • 역할 : API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정의합니다. API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객체로,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 구성요소 : DTO(Data Transfer Object)가 이 레이어에 해당합니다. DTO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객체로, API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 예시 :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글 데이터를 API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게시글의 제목, 내용, 작성자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객체를 정의합니다. 이 객체는 API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Model Layer (모델 레이어)

  • 역할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엔티티(Entity)**로 정의하고, 해당 데이터의 구조와 동작 방식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레이어는 데이터를 객체로 표현하며, 각 객체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필드를 포함하고, 비즈니스 규칙에 따라 동작할 수 있습니다.
  • 구성요소 : 데이터 모델(Entity), 데이터 검증 로직, 데이터와 관련된 간단한 유틸리티 메소드 등이 포함됩니다.
  • 예시 : SNS 게시글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각 게시글이 가져야 할 속성(예: 내용, 작성자, 생성 시간 등)을 규정합니다. 또한, 데이터 유효성 검증이나 기본 값 설정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구조 적용 예시

  1. Presentation Layer

    • 대시보드 페이지에서 게시글 조회와 작성 폼을 제공합니다.
    • /app/dashboard/page.tsx 파일에 해당 컴포넌트를 구현합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DashboardPage() {
      // 게시글 데이터를 가져오는 로직
    
      return (
        <div>
          <h1>Dashboard</h1>
          <form onSubmit={handleSubmit}>
            <input name="title" placeholder="Title" required />
            <textarea name="content" placeholder="Content" required />
            <button type="submit">Add Post</button>
          </form>
          {isLoading && <p>Loading...</p>}
          <ul>
            {posts.map((post) => (
              <li key={post.id}>
                <h2>{post.title}</h2>
                <p>{post.content}</p>
                <p>By: {post.author}</p>
              </li>
            ))}
          </ul>
        </div>
      )
    }
    
  2. Business Logic Layer

    • 게시글 작성, 수정, 삭제 로직을 처리합니다.
    • /view-models/post.view-model.ts 파일에 게시글 데이터를 관리하는 객체를 구현합니다.
    export class PostViewModel {
      // 상태를 정의하며 초기화합니다.
      private readonly _state = proxy<State>(initialState)
    
      // 의존성 주입을 통해 데이터 접근 레이어의 객체를 전달받습니다.
      constructor(private readonly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
    
      get state() {
        return this._state
      }
    
      public async fetchPosts() {
        const posts = await this.postRepository.getPosts()
    
        this._state.posts.length = 0
        this._state.posts.push(...posts)
        this._state.isLoading = false
      }
    
      public async addPost(post: Post) {
        const newPost = await this.postRepository.createPost(post)
    
        this._state.posts.push(newPost)
      }
    }
    

    proxy는 valtio에서 사용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객체를 감싸서 리액티브 상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 즉, 객체의 상태가 변경될 때 이를 자동으로 추적하고 리액트 컴포넌트와 같은 소비자에게 상태 변경을 알리는 기능을 합니다.

  3. Data Access Layer

    • API 서버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합니다.
    • /repositories/post.repository.ts 파일에 게시글 저장소를 관리하는 객체를 구현합니다.
    export class PostRepository {
      public async getPosts(): Promise<PostEntit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posts', {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
    
        const fromPlainPosts = (await response.json().then(({ data }) => data)) as Post[]
    
        return plainToInstance(PostEntity, fromPlainPosts)
      }
    
      public async createPost(postRequest: Post): Promise<PostEntit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posts',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postReques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
    
        const fromPlainPost = (await response.json().then(({ data }) => data)) as Post
    
        return plainToInstance(PostEntity, fromPlainPost)
      }
    }
    

    plainToInstance를 사용한 이유는 API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Entity로 변환하기 위함입니다. Entity는 모델 레이어에서 정의한 데이터 구조를 따르는 객체입니다.

  4. Data Transfer Object(DTO) Layer

    • API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정의합니다.
    • /dtos/post.dto.ts 파일에 게시글 데이터 전송 객체를 정의합니다.
    export class CreatePostDto {
      constructor(
        public readonly title: string,
        public readonly content: string,
        public readonly author: string
      ) {}
    
      static fromPlain(plain: Pick<Post, 'title' | 'content' | 'author'>): CreatePostDto {
        return new CreatePostDto(plain.title, plain.content, plain.author)
      }
    }
    
  5. Model Layer

    • 게시글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 /models/post.model.ts 파일에 게시글 데이터 모델을 정의합니다.
    export interface Post {
      id: number
      title: string
      content: string
      author: string
    }
    
    export class PostEntity implements Post {
      constructor(
        public readonly id: number,
        public readonly title: string,
        public readonly content: string,
        public readonly author: string
      ) {}
    
      static fromPlain(plain: Post): PostEntity {
        return new PostEntity(plain.id, plain.title, plain.content, plain.author)
      }
    
      static fromPlains(plains: Post[]): PostEntity[] {
        return plains.map(PostEntity.fromPlain)
      }
    
      static toPlain(entity: PostEntity): Post {
        return {
          id: entity.id,
          title: entity.title,
          content: entity.content,
          author: entity.author,
        }
      }
    
      static toPlains(entities: PostEntity[]): Post[] {
        return entities.map(PostEntity.toPlain)
      }
    }
    

어떻게 Presentation Layer와 Business Logic Layer를 연결할까?

정답은 useSnapshot입니다. Business Logic Layer에서 정의한 State는 valtio의 proxy로 감싸져 있기 때문에, useSnapshot을 통해 상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DashboardPage() {
  const state = useSnapshot(postViewModel.state)

  useEffect(() => {
    postViewModel.fetchPosts()
  }, [])

  const handleSubmit = async (event: React.FormEvent<HTMLFormElement>) => {
    event.preventDefault()

    const createPostDto = CreatePostDto.fromPlain({
      title: event.target.title.value,
      content: event.target.content.value,
      author: 'Author',
    })

    await postViewModel.addPost(createPostDto)
  }

  return (
    ...기존 코드
  )
}

조금 더 나아가기

왜 Valtio가 OOP와 잘 어울리는지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Valtio의 Snapshot과 Adapter 패턴

Adapter 패턴이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진 객체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valtio의 useSnapshot은 proxy 객체를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해주는 함수로, Adapter 패턴의 역할을 해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상태를 React 컴포넌트의 상태와 연결해주어, 리액티브하게 상태가 변경할 때마다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iew Model의 역할 강화와 Manager 객체 등장

ViewModel의 UI와 상호작용을 처리하며 상태관리를 담당해야 합니다. 하지만 ViewModel이 너무 많은 책임을 갖게 되면, 코드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코드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패턴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해결책 중 하나가 바로 Manager 객체의 도입입니다.

Manager 객체는 ViewModel의 역할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1. 책임 분산: ViewModel의 과도한 책임을 Manager 객체로 분산시켜 각 객체의 역할을 명확히 합니다.
  2. 코드 재사용성 증가: 여러 ViewModel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로직을 Manager 객체로 추출하여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3. 테스트 용이성: Manager 객체의 도입으로 각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하기 쉬워집니다.
  4. 확장성 개선: 새로운 기능 추가 시 기존 코드의 수정을 최소화하면서 Manager 객체를 통해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제 Manager 객체를 어떻게 구현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게시글을 작성하는 페이지와 댓글을 작성하는 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각 페이지는 고유의 ViewModel을 사용하고, 이들을 관리하는 Manager 객체를 통해 서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PostViewModel과 CommentViewModel의 예시 코드입니다

export class PostViewModel {
  private readonly _state = proxy<{ posts: PostEntity[] }>({ posts: []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

  get state() {
    return this._state
  }

  public async fetchPosts() {
    const posts = await this.postRepository.getPosts()
    this._state.posts = posts
  }

  public async addPost(createPostDto: CreatePostDto) {
    const post = await this.postRepository.createPost(createPostDto)
    this._state.posts.push(post)
  }
}

위의 PostViewModel에서는 게시글의 상태를 관리하고, 게시글을 추가하는 등의 메소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CommentViewModel도 유사한 구조로 작성되어 댓글을 관리합니다.

export class CommentViewModel {
  private readonly _state = proxy<{ comments: CommentEntity[] }>({ comments: []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commentRepository: CommentRepository) {}

  get state() {
    return this._state
  }

  public async fetchComments(postId: number) {
    const comments = await this.commentRepository.getComments(postId)
    this._state.comments = comments
  }

  public async addComment(postId: number, comment: Comment) {
    const newComment = await this.commentRepository.createComment(postId, comment)
    this._state.comments.push(newComment)
  }

  public toggleLike(commentId: number) {
    const comment = this._state.comments.find((c) => c.id === commentId)
    if (comment) {
      comment.likes += 1
    }
  }
}

이렇게 각각의 ViewModel이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면서, Manager 객체가 이들을 조율합니다. Manager 객체는 상태 접근과 데이터 로딩, 그리고 CRUD 작업을 조합하여 UI의 다양한 요구를 처리합니다.

export class PostManager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postViewModel: PostViewModel,
    private readonly commentViewModel: CommentViewModel
  ) {}

  // 게시물 상태 접근
  get posts() {
    return this.postViewModel.state.posts
  }

  // 댓글 상태 접근
  get comments() {
    return this.commentViewModel.state.comments
  }

  // 게시물 데이터 로드
  public async loadPostData() {
    await this.postViewModel.fetchPosts()
  }

  // 특정 게시물의 댓글 데이터 로드
  public async loadCommentData(postId: number) {
    await this.commentViewModel.fetchComments(postId)
  }

  // 게시물 추가
  public async addPost(post: Post) {
    await this.postViewModel.addPost(post)
  }

  // 댓글 추가
  public async addComment(postId: number, comment: Comment) {
    await this.commentViewModel.addComment(postId, comment)
  }

  // 댓글 좋아요 처리
  public likeComment(commentId: number) {
    this.commentViewModel.toggleLike(commentId)
  }

  // 게시물 삭제 시 해당 댓글도 모두 삭제
  public async deletePost(postId: number) {
    await this.postViewModel.deletePost(postId)
    await this.commentViewModel.deleteCommentsByPost(postId) // 해당 게시물의 모든 댓글 삭제
  }
}

이 구조는 코드의 확장성을 높이고, 각 ViewModel의 책임을 명확히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듭니다.

이처럼 Manager 객체를 도입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관리를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UI와의 의사소통

Manager 객체를 도입한 후, UI 컴포넌트와 상태 관리 로직 간의 의사소통은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React 컴포넌트에서 Manager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Manager 객체를 생성하고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Context AP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PostManagerContext = createContext(null)

export const PostManagerProvider: React.FC = ({ children }) => {
  return { children }
}

export const usePostManager = () => {
  const context = useContext(PostManagerContext)
  if (!context) {
    throw new Error('usePostManager must be used within a PostManagerProvider')
  }
  return context
}

이제 UI 컴포넌트에서 usePostManager 훅을 사용하여 Manager 객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DashboardPage() {
  const postManager = usePostManager()
  const { posts } = useSnapshot(postManager.postViewModel.state)

  useEffect(() => {
    postManager.loadPostData()
  }, [postManager])

  return (
    <div>
      <h1>Dashboard</h1>
      // ...기존 코드
      <ul>
        {posts.map((post) => (
          <li key={post.id}>
            <h2>{post.title}</h2>
            <p>{post.content}</p>
            <p>By: {post.author}</p>
          </li>
        ))}
      </ul>
    </div>
  )
}

이 구조에서 UI 컴포넌트는 Manager 객체를 통해 상태에 접근하고 액션을 디스패치합니다. useSnapshot을 사용하여 상태 변경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리렌더링됩니다.

마무리

이러한 객체지향적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관심사의 분리: 각 객체(ViewModel, Repository, Manager)는 특정 책임을 가지고 있어, 코드의 구조가 명확해집니다.

  2. 재사용성: ViewModel과 Repository는 다른 상황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테스트 용이성: 각 객체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어, 단위 테스트 작성이 쉬워집니다.

  4. 유지보수성: 코드의 구조가 명확하고 각 부분의 역할이 분명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5. 확장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영향을 받는 부분을 쉽게 파악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Valtio와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과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더 구조화되고 관리하기 쉬운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규모가 큰 프로젝트나 복잡한 상태 로직을 다루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더불어, Valtio를 활용한 상태 관리는 이러한 객체지향적 접근 방식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합니다:

  1. 간결한 코드: Valtio의 proxy 기반 API를 통해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성능 최적화: Valtio는 필요한 부분만 리렌더링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어,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3. 투명한 상태 관리: Valtio의 스냅샷 기능을 통해 상태 변화를 쉽게 추적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4. 리액트 생태계와의 통합: Valtio는 리액트의 기본 원칙과 잘 어울리며, 다른 리액트 라이브러리들과도 쉽게 통합됩니다.

Valtio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더 구조화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성능이 최적화된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현대의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큰 이점을 제공하며, 개발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초기에는 약간의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코드의 품질과 개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더 견고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